요약
급여계산기록부란 직원의 급여내역을 급여계산법을 적용하여 제작한 급여계산기 형태의 양식이다.
내용
급여계산기록부의 개요

1) 급여계산기록부의 정의
급여란 근로계약에 따라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임금이다.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대가로 정기적으로 지급받는 금액으로 회사에서 근로자에게 지급한 기본급, 상여금, 각종 수당에 관하여 급여계산 내역을 작성한 양식을 급여계산기록부라고 한다.

사업주는 급여를 일정한 날을 정하여 지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세법 또는 각종 규정에 의하여 일정한 공제액을 원천징수(차감)하고 그 잔액에 대하여 지급하게 된다. 급여계산기록부는 지급내역과 공제내역으로 구성되는데 지급내역에는 기본급, 상여금, 퇴직금, 제수당 등으로 구성되며, 공제내역은 소득세, 주민세, 4대 보험(고용보험, 산재보험, 건강보험, 국민연금) 등으로 구성된다.

2) 급여계산기록부 양식의 구성
① 근로자의 인적사항
근로자의 성명, 사원번호, 부서, 직위, 입사일자, 재직상태(재직, 퇴사)
② 지급내역
기본급, 상여금, 식대, 차량유지비, 연장수당, 근속수당 등으로 구성
③ 공제내역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등으로 구성
④ 실지급액
지급내역에서 공제내역을 차감한 실제 지급액이 됨

급여계산법

1) 급여 비과세 항목
① 식대 10만원까지
② 자가운전보조금 20만원까지
③ 자녀보육수당 10만원 / 6세이하 자녀의 경우
④ 근로자 본인의 학자금, 유족급여, 실업급여 등도 비과세

2) 4대보험 계산
구분 요율(%) 하한액 상한액

∙ 국민연금
사업주 4.5% / 근로자 4.5%

∙ 건강보험
사업주 3.43% / 근로자 3.43%

∙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주 11.52% / 근로자 11.52%

∙ 고용보험
사업주 1.05% / 근로자 0.80%

∙ ​사업소득 3.3% / 기타소득 8.8%

※ 2021년 3월 기준

특히나 급여계산은 엑셀을 이용하면 4대보험 계산 및 지급액, 공제액의 차감으로 인한 급여실수령액 등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엑셀프로그램의 함수식을 이용하면 직원의 급여관리를 더욱 체계적으로 할 수 있다.